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질환백과

본 질환백과에서는 증상별, 부위별, 질병별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요즘 ISSUE

안면마비

안면마비

Facial palsy

심장

심장

heart

폐렴

폐렴

Pneumonia

뇌출혈

뇌출혈

ntracerebral Hemorrhage

당뇨병

당뇨병

Diabetes Mellitus

기관 협착

기관 협착

Stenosis of trachea

폐렴

폐렴 (Pneumonia)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병원체에 의해 폐의 폐포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기침, 가래, 고열, 흉통, 호흡곤란 등이며,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에서는 피로감, 의식 저하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 감기와 달리 증상이 심하고 지속되므로 정확한 진단과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흉부 X-ray 또는 CT로 진단하며, 중증일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 백신 접종(폐렴구균, 인플루엔자 등)과 개인위생이 예방에 중요합니다.

안면마비

안면마비 (Facial palsy)

안면 마비는 어떤 원인에 의해서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 신경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얼굴에 마비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안면 마비가 생기면 한쪽 얼굴 근육의 움직임의 정도가 감소하여 얼굴을 움직일 때 양쪽이 서로 비대칭이 됩니다. 뇌의 외상, 출혈, 감염증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 중추 신경 마비는 양측성의 구순, 비근, 안근 마비 증상을 유발합니다. 말초신경 마비는 편측의 저작 곤란 증상 등을 유발합니다.

메니에르병

메니에르병 (Meniere's Disease)

메니에르병은 내림프액의 압력 증가로 인해 내이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으로, 반복적인 어지럼증, 이명, 난청, 귀 먹먹함이 3대 증상입니다. 주로 30~60대에 발병하며, 발작은 수 분에서 수 시간 지속되며, 구토나 균형장애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발작 전 귀가 찌릿하거나 먹먹한 느낌이 전조 증상일 수 있습니다.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스트레스, 수면 부족, 염분 섭취 과다, 자가면역이 연관됩니다. 진단은 병력 청취와 청력검사, 전정기능 검사, MRI 등을 활용합니다. 치료는 저염식, 이뇨제, 항현훈제, 항불안제 등으로 증상을 조절하며, 재발 예방이 중요합니다. 심한 경우 수술(내림프낭 감압술, 전정신경 절제술 등)이 시행되기도 합니다. 재발성과 삶의 질 저하가 심해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입니다. 스트레스 관리와 수분 조절, 꾸준한 약물 복용이 중요합니다.

폐혈증

폐혈증 (Pulmonary Sepsis)

폐혈증은 폐렴 등 폐의 감염이 전신으로 퍼져 전신성 염증 반응(SIRS)과 장기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원인균은 주로 폐렴구균, 황색포도상구균, 그람음성균 등이며, 면역력이 약한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에게서 잘 발생합니다. 고열, 빠른 심박수, 호흡곤란, 저혈압, 의식 저하 등이 동반되며, 패혈성 쇼크로 진행될 경우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진단은 혈액배양, 염증표지자(CRP, procalcitonin), 흉부 영상검사 등을 통해 이뤄지며, 빠른 진단이 생존율 향상에 필수입니다. 치료는 고용량 항생제, 수액 및 승압제 투여, 인공호흡기, 중환자실 집중치료가 필요합니다. 감염원 제거와 함께 다장기 기능을 지지하는 치료가 중요합니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폐기능 저하, 심장·신장 기능 장애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합니다. 예방을 위해 폐렴구균, 독감 백신 접종도 고려해야 합니다.

폐농양

폐농양 (Lung Abscess)

폐농양은 폐 조직 내에 고름이 고이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세균 감염, 특히 흡인성 폐렴 이후 발생합니다. 만성적으로 지속되며, 고열, 악취가 나는 다량의 가래, 기침, 흉통, 피로감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폐결핵, 면역저하, 치주질환이 위험인자가 될 수 있으며, 음식을 잘못 삼키는 경우도 원인이 됩니다. 진단은 흉부 X선 또는 CT에서 구멍이 뚫린 농양 부위가 확인되며, 객담 배양도 시행됩니다. 치료는 고용량의 항생제를 수 주 이상 사용하며, 항생제 반응이 없을 경우 배액이나 외과적 절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가 지연되면 패혈증, 폐출혈, 폐기능 저하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양 상태와 구강 위생 관리도 예방에 중요합니다. 치료 후에도 잔류 병변이 남는 경우가 있어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요로감염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요로감염은 소변이 흐르는 길(요로)인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에 세균이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보통 **방광염(하부 요로감염)**이 가장 흔하며, 감염이 **신장(상부 요로감염)**까지 퍼질 경우 신우신염이라는 보다 심한 상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훨씬 흔하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하거나 신장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담석증

담석증 (Cholelithiasis)

담석증은 **담낭(쓸개)이나 담관(담도)에 돌처럼 딱딱한 결석(담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져 담낭에 저장되며, 지방을 소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담즙이 특정 물질(콜레스테롤, 빌리루빈 등)과 불균형을 이루면 결정이 생겨 돌처럼 굳어 담석이 되는 것입니다.

담석은 대부분 무증상이나, 담관을 막거나 염증을 유발할 경우 심한 복통이나 소화기 증상을 일으킵니다.


지방간

지방간 (Fatty Liver Disease)

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이 과도하게 쌓이는 상태로, 정상적으로 간에 존재하는 지방량보다 훨씬 많은 지방이 축적된 경우를 말합니다.

지방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알코올성 지방간: 과도한 음주로 인해 발생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술을 거의 마시지 않아도 생기는 지방간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일부는 **지방간염(NASH)**으로 진행돼 간세포 손상, 섬유화, 나아가 간경변, 간암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간경변

간경변 (Liver Cirrhosis)

간경변은 오랜 기간 간에 염증이나 손상이 지속되어 간세포가 파괴되고, 그 자리를 딱딱한 섬유조직(흉터 조직)이 대체하면서 간이 굳어지는 만성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간은 부드럽고 재생력이 뛰어나지만, 반복적인 손상으로 인해 간의 구조가 망가지고 기능이 저하됩니다.

진행되면 간 기능 부전, 문맥고혈압, 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혼수, 간암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염

간염 (Hepatitis)

간염은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간세포가 손상되고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입니다.

간염은 **급성(짧고 강하게 증상이 나타남)**과 **만성(6개월 이상 지속됨)**으로 나뉘며, 그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알코올성, 약물성, 자가면역성 등으로 구분됩니다.

특히 **바이러스성 간염(B형, C형 등)**은 만성화되기 쉽고,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유방암

유방암 (Breast Cancer)

유방암은 유방을 이루는 세포, 특히 **유관(젖을 운반하는 관)이나 소엽(젖을 만드는 곳)**에서 비정상적인 세포가 증식하며 생기는 악성 종양입니다.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조기 검진과 치료법 발전으로 완치율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남성도 유방암이 생길 수 있지만 여성에 비해 드문 편입니다.

심근병증

심근병증 (Cardiomyopathy)

심근병증은 심장 근육(심근) 자체에 이상이 생겨 심장의 수축력이나 이완 기능이 떨어지는 질환입니다.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내보내는 펌프 역할을 하는데, 심근에 문제가 생기면 혈액을 제대로 내보내지 못하거나,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거나 늘어나게 됩니다.

진행하면 심부전, 부정맥, 심장정지 등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AF))

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매우 빠르고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불규칙 심장박동)**입니다.

정상적인 심장은 규칙적으로 박동하여 혈액을 효과적으로 내보내지만, 심방세동이 발생하면 **심장의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불규칙해지면서 혈류 흐름이 나빠지고 혈전(피떡)**이 생기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이로 인해 뇌졸중, 심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갑상선암

갑상선암 (Thyroid Cancer)

갑상선암은 목의 앞쪽에 위치한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암세포의 비정상적 성장으로 생기는 내분비계 악성 종양입니다.

대부분은 성장이 느리고 예후가 매우 좋은 암으로 분류되며, 조기에 발견할 경우 완치율이 매우 높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유두암, 여포암, 수질암, 미분화암 등이 있으며, 이 중 **유두암이 전체 갑상선암의 약 80~90%**를 차지합니다.

전립선비대증

전립선비대증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져 소변이 나오는 통로인 요도를 압박하면서 다양한 배뇨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아래에 위치한 생식기관으로, 정액의 일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남성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전립선이 점점 커지게 되며, 주로 중년 이후 남성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골다공증

골다공증 (Osteoporosis)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와 강도가 감소하여 뼈가 약하고 쉽게 부러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뼈에 구멍이 생긴다’는 이름처럼, 골다공증이 진행되면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내부는 속이 빈 것처럼 약해져 낙상이나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년층 여성과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부정맥

부정맥 (Arrhythmia)

부정맥은 심장이 비정상적인 속도나 리듬으로 뛰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 심장박동은 분당 60~100회 정도 규칙적으로 뛰지만, 부정맥이 생기면 심장이 너무 빠르거나(빈맥), 너무 느리거나(서맥), 불규칙하게 뛰게 됩니다.

가벼운 부정맥은 특별한 증상 없이 지나가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 실신, 심부전, 심정지 등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파킨슨병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은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으로, 주로 도파민을 생성하는 뇌 부위(흑질)의 세포가 점차 감소하면서 운동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병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떨림(진전), 느린 움직임(운동 완만), 근육 경직, 자세 불안정 등이 있으며, 증상은 점진적으로 진행됩니다.

보행 시 팔을 흔들지 않거나, 마치 발을 땅에 붙인 듯 끌면서 걷는 특징적인 보행 장애가 나타납니다.

진단은 주로 신경과 전문의의 임상적 소견에 따라 이뤄지며, 필요시 뇌 영상검사나 도파민 수용체 스캔 등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현재까지 완치는 어렵지만, 약물치료(레보도파, 도파민 작용제 등)를 통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부 환자에게는 뇌심부자극술(DBS) 같은 수술적 치료도 고려됩니다.

운동 치료와 재활, 심리적 지지 역시 일상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치매

치매 (Dementia)

치매는 기억력, 판단력, 언어 능력, 시간·공간 감각 등 인지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질환입니다.

단순한 노화로 인한 건망증과는 다르며,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뇌 기능 저하가 특징입니다.

치매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그 중 알츠하이머병이 가장 흔하고, 그 외에도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 파킨슨병 관련 치매 등이 있습니다. 

뇌출혈

뇌출혈 (ntracerebral Hemorrhage)

뇌출혈은 뇌혈관이 파열되어 뇌 안에 출혈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출혈로 인해 뇌 조직이 압박받고 손상되며, 갑작스럽게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나타납니다.

뇌출혈은 뇌경색보다 사망률과 후유증 발생률이 높고 빠른 응급치료가 필수인 심각한 질환입니다.

뇌졸중

뇌졸중 (Stroke)

뇌졸중은 뇌로 가는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거나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조직이 손상되어 신경학적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뇌졸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 (약 80%)

뇌출혈(출혈성 뇌졸중):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 (약 20%)


뇌세포는 산소 공급이 끊기면 몇 분 안에 손상되므로, 뇌졸중은 시간이 생명인 응급질환입니다.

심부전

심부전 (Heart Failure)

심부전은 심장이 약해져 온몸에 필요한 혈액과 산소를 충분히 내보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심장이 펌프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별 증상이 없지만 점점 피로, 호흡곤란, 부종 등 증상이 심해져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심부전은 치료를 통해 조절할 수 있지만, 완치는 어려운 만성질환입니다.

협심증

협심증 (Angina Pectoris)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 일시적으로 혈액 공급이 부족해질 때 발생하는 가슴 통증입니다.

주로 운동, 스트레스, 추위 등으로 심장이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할 때 증상이 나타나며, 혈류가 다시 회복되면 증상도 사라집니다.

심근경색처럼 심장 근육이 괴사하지는 않지만, 협심증이 반복되거나 악화되면 심근경색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심근경색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심장 근육 일부가 괴사(죽는) 매우 위급한 질환입니다.

흔히 **“심장마비”**라고 불리며, 즉각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질환입니다.


천식

천식 (호흡기계 (기관지, 폐))

천식은 기관지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고 민감해져서, 특정 자극에 의해 기관지가 좁아지면서 호흡 곤란, 기침, 쌕쌕거림(천명음)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만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환경적 자극이나 감염, 운동, 찬 공기 등에 의해 증상이 악화되며, 밤이나 새벽에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급성 발작으로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어 꾸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불면증

불면증 (Insomnia)

불면증은 충분한 수면 환경이 갖춰졌음에도 불구하고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는 등 수면의 질과 양이 떨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시적인 경우도 있지만, 3개월 이상 주 3회 이상 반복된다면 만성 불면증으로 분류되며 치료가 필요합니다.

불면증은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우울증, 고혈압, 면역력 저하 등과도 관련이 있어 관리가 중요합니다.

요통

요통 (Low Back Pain)

요통은 허리 부위, 특히 요추(허리뼈) 주변에 생기는 통증을 의미합니다.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단순한 근육통부터 디스크(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같은 구조적 이상까지 포함됩니다. 대부분은 특정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비특이적 요통입니다.

골관절염

골관절염 (Osteoarthritis)

골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고, 관절 주변의 뼈와 조직에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관절 질환입니다.

주로 무릎, 엉덩이, 손가락, 척추 등 많이 사용하는 관절에서 발생하며, 노화와 함께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관절 질환입니다.

위염

위염 (Gastritis)

위염은 위장 내부를 보호하는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나뉩니다.

급성 위염은 갑작스러운 자극이나 감염 등으로 발생해 단기간에 증상이 나타나며 치료 후 회복됩니다.

만성 위염은 위 점막이 장기간 자극을 받아 점점 약해지고 위축되면서 서서히 진행되는 형태입니다.


※ 만성 위염은 위암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기관지염

기관지염 (Bronchitis)

기관지염은 폐로 공기를 운반하는 통로인 기관지에 염증이 생긴 질환입니다.

염증으로 인해 기침, 가래, 호흡 불편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발생 양상에 따라 급성 기관지염과 만성 기관지염으로 구분됩니다.


급성 기관지염은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생기며 며칠에서 2~3주 내에 호전됩니다.


만성 기관지염은 3개월 이상 기침과 가래가 지속되며, 특히 흡연자에게 흔하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일부일 수 있습니다.

감기

감기 (Common Cold)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 호흡기 감염 질환입니다.

주로 코, 목, 인두 등 상기도에 염증을 일으켜 기침, 콧물, 인후통 등 가벼운 호흡기 증상을 유발합니다.

감기는 흔하지만 전염성이 있으며,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며칠 내 자연스럽게 회복됩니다.

고지혈증

고지혈증 (Hyperlipidemia)

고지혈증은 혈액 속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같은 지방 성분이 정상보다 높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혈중 지질 수치가 높아지면 혈관 벽에 지방이 쌓이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병,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방치하기 쉬운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병

당뇨병 (Diabetes Mellitus)

당뇨병은 혈액 속에 **포도당(혈당)**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만성 질환입니다. 우리 몸은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을 이용해 혈당을 에너지로 사용하는데,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혈당이 높아지게 됩니다. 혈당이 오랜 시간 높게 유지되면 혈관, 신경, 신장, 눈, 여러 기관에 손상을 있습니다.

심장

심장 (heart)

고지혈증,심근염,부정맥,고혈압,협심증,저혈압,이상지질혈증,심부전,심방세동,빈맥,풍진,심계항진,청색증,비민,서맥,터너증후군,각기병,심장판막증,폐색전증,곤봉지,폐부종,라임병,죽상경화증,심실세동,심근경색증,쇼크,핍뇨,심실빈맥,동맥관개존증,심장비대,양수색전증,공기색전증,요흔성부종,마르팡증후군,미주신경성실신,심근증,관상동맥성형술,승모판협착증,허혈성심질환,임신성고혈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