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세종병원에서는 고객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해서 게시판을 통해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총 254건
인지기능검사를 해야하는데 환자가 글씨를 모르면 어떻게 하나요?
인지기능 검사는 나이, 학력에 따른 기준이 다르므로 상관 없습니다.
인지기능검사를 해야하는데 환자가 귀가 안들리면 검사를 어떻게 하나요?
보청기가 있으시면 가지고 오시고, 글씨를 읽으시는 분은 검사지를 읽어서 진행하기도 합니다.
왜 같은 인지기능검사를 해마다 계속 하라고 하나요?
보통 1년에 한번 진행하는데 인지기능의 변화를 확인하여 진행상황을 확인하여 약을 조절 또는 변경할 수 있고, 만약 약을 계속 드셔야 하는 상황이라면 약처방시 급여로 받기 위해서는 검사가 꼭 필요합니다.
근전도, 신경전도검사 많이 아픈가요?
검사시 전기자극이나 바늘전극으로 하는 검사라 아프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금방 적응 하셔서 잘 받고 가시나 혹시라도 너무 고통스러워
검사가 힘들 시 말씀해 주십시오.
근전도, 신경전도검사를 해야하는데 아스피린 먹어도 괜찮나요?
과장님이 따로 언급이 없으셨다면 아스피린은 검사와 크게 상과없습니다.
와파린, 쿠마딘을 드시는 환자분이면 검사 전 피검사를 진행해서 결과에 따라
검사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근전도, 신경전도검사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검사하는 부위나 환자분에 상태에 따라 검사시간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근전도, 신경전도검사시 왜 아픈부위에 안하고 다른데 하나요?
아픈 부위에 하는게 아니고 신경의 위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신경이 지나가는
정확한 부위에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근전도, 신경전도검사 너무 아파요. 안아프게 살살 해줄 수 없나요?
전기자극이 불편하실 수는 있으나 너무 적은 자극으로 검사를 진행하면
반응이 나오지 않아 검사가 정확하게 진행될 수 없습니다. 아프시더라도
힘을 최대한 빼시고 계셔야 검사가 수월하게 진행됩니다.
근전도, 신경전도검사시 과장님은 언제 만나요?
검사자가 검사 종료 후 과장님을 불러드리면 환자분 기록을 보시고 오시니
대기시간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경동맥 초음파검사는 자세가 왜 이렇게 불편해요?
경동맥 (목혈관)을 최대한 길게 봐야해서 자세가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최대한 빠르게 검사해드릴테니 혹시 너무 불편하시면 말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