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소아흉부외과] 태아심장이야기
등록일: 2018-07-12본문
태아 시기에는 폐에서 가스 교환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엄마의 태반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태아의 전신 순환을 거친 산소가 고갈된 혈앨이 제대 동맥을 통해 태반으로 돌아오고, 산소가 풍부한 혈액(산소포화도가 80~90%)이 태반에서 제대 정맥을 통해 태아 몸 속으로 들어갑니다.
■ 태아 혈액 순환의 특징
태아의 뇌와 심장에 산소포화도가 높은 혈액이 공급되도록 디자인 되어 있고 이를 위해 정맥관(그림속5번), 난원공(6), 동맥관(7)이 존재합니다. 산소포화도가 높은 제대 정맥의 50~60%는 정맥관을 통해 간을 우회하여 하대정맥에 도착하고, 하대정맥의 후방 바닥에서 난원공을 통해 좌심방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 때 산소포화도는 65%정도 됩니다. 이후 좌심실을 통해 상행대동맥으로 통하여 뇌와 심근에 많은 산소를 공급합니다.
상대 정맥혈, 관상정맥동에서 나온 혈액, 하지 및 간 순환을 거친 전신 정맥은 산소포화도가 25~40$ 정도인데 이 정맥혈은 삼첨판막을 통해 우심실로 이동하고, 12%의 혈액만이 폐순환을 거치며, 나머지 88%의 혈액은 동맥관을 통해 하행대동맥으로 흐르게 됩니다. 태아 몸의 아랫쪽 반은 산소가 부족한 혈액이 공급됩니다.

■ 출생직후 혈액 순환의 변화
출생직후 가스 교환의 장소가 태반에서 신생아의 폐로 전환됩니다.
태반을 통한 혈액순환이 출생 직후 중단되는데, 이는 제대혈관이 혈관의 확장과 산소분압의 상승으로 수축하는 것과 관련됩니다. 태반을 통한 혈액순환의 중단으로 정맥관과 하대정맥을 통한 혈류양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출생 후 3~10일 사이에 정맥관이 막힙니다.
임신 후기 동안 폐혈관저항이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출생 직후 폐가 펴지면서 폐혈관 저항은 급격하게 감소하고 폐혈류는 8~10배 정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폐혈류 증가는 폐정맥을 통한 좌심방의 혈액 양을 증가시킵니다. 태반 혈류의 중단 후 하대정맥 혈류양의 감소로 우심방의 혈액 양이 감소합니다. 이 두가지 변화로 우심방과 좌심방사이의 압력이 비슷해져서 난원공 덮개가 우측 심방중격으로 밀려 심방 간의 단락이 효과적으로 폐쇄됩니다. 난원공의 일차 폐쇄는 수 분에서 수 시간 사이에 일어나고, 이 후 주위 조직이 증식하여 난원공은 해부학적으로 완전히 막히게 됩니다.
폐혈관 저항의 감소로 동맥관을 통한 단락이 양방향성으로 변합니다. 이후 동맥관의 폐쇄에 대한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신생아 혈액의 산소분압의 상승과 태반에서 만들어진 PGE2의 농도가 급감함으로써 동맥관이 수축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맥관의 폐쇄는 2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건강한 만삭아의 경우 기능적인 폐쇄는 출생 후 96시간에 일어나고 이후 혈관 내막과 섬유조직의 증식으로 해부학적으로 완전히 막힙니다.

■ 산모의 건강검진

■ 태아 심장 초음파 검사
태아 심초음파의 적절한 검사 시기는 임신 18~22주 정도 입니다. 그렇다면 태아심장초음파 검사는 어떤 경우 필요할까요?

태아 심장초음파 검사로 80~85%의 선천성 심장 기형을 진단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습니다.
▶ 작은 심실중격결손과 같은 기형이나 심실유출로 인한 기형은 진단이 어려울 수 있음
▶ 이엽 대동맥판막과 같이 진행하는 경우 임신 18~20주에 진단하기 어려움
▶ 산모의 체질이나 태아의 자궁 내 위치에 따라 심초음파 진단의 제한이 있음
※도움글 : 세종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흉부외과
- 이전글[장기이식센터] 희망의 씨앗을 움트다, 장기이식 18.07.12
- 다음글[가정의학과] 건강검진 이상 없는데 피곤한 이유…머리카락은 알고 있다 18.07.12